본문 바로가기
NBA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 시청 바로가기

by M관리자 2025. 7. 16.
반응형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최고의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들이 모여 경쟁하는 제31회 대회로, 2025년 7월 13일부터 7월 20일까지 중국 선전에서 열린다. 이 대회는 2026 FIBA 여자농구 월드컵의 직행 티켓(우승팀)과 예선 토너먼트 진출권(2위~6위)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무대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대회 개요, 일정, 주요 관전 포인트, 그리고 시청 방법을 자세히 다루며, 한국 대표팀의 활약과 주요 경기 하이라이트를 소개한다.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 로고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 시청 바로가기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이란?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1965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아시아 지역 여자 농구의 대표적인 대회로 자리 잡았다. 2025년 대회는 중국 선전의 선전 베이 스포츠센터에서 진행되며, 디비전 A와 디비전 B로 나뉘어 총 16개 팀이 참가한다. 디비전 A에는 중국, 일본, 호주 등 강팀을 포함한 8개 팀이 출전하며, 디비전 B에서는 인도, 카자흐스탄 등 팀들이 상위 디비전 승격을 목표로 경쟁한다.

 

주요 정보

 - 개최 기간: 2025년 7월 13일 ~ 7월 20일

 - 개최지: 중국 선전, 선전 베이 스포츠센터

 - 참가 팀: 디비전 A 8개 팀, 디비전 B 8개 팀

 - 대회 형식:

   디비전 A: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라운드 로빈) 후, 1위 팀은 준결승 직행, 2·3위 팀은 플레이오프, 4위 팀은 7위 결정전. 준결승 이후 노크아웃 방식.

   디비전 B: 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디비전 A 승격 기회 획득.

 - 상위권 보상: 우승팀은 2026 FIBA 여자농구 월드컵 직행, 2~6위 팀은 월드컵 예선 토너먼트 진출.

 

참가 팀

 - 디비전 A:

   조 A: 중국, 뉴질랜드, 한국, 인도네시아

   조 B: 호주, 일본, 레바논, 필리핀

 - 디비전 B: 인도, 카자흐스탄, 태국, 몽골 등 8개 팀

 

<출처> FIBA 홈페이지_한국 대표팀 박지현

 

 

대회 일정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7월 13일부터 20일까지 8일간 진행되며, 총 20경기가 펼쳐진다. 아래는 주요 일정과 한국 대표팀의 경기 일정이다(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

 

조별 예선

 - 7월 13일 (일):

   조 A: 중국 vs 인도네시아 (11:30)

   조 A: 뉴질랜드 vs 한국 (17:30)

   조 B: 일본 vs 레바논 (05:30)

   조 B: 호주 vs 필리핀 (08:30)

 

 - 7월 14일 (월):

   조 A: 한국 vs 뉴질랜드 (05:30)

   조 B: 레바논 vs 호주 (08:30)

   조 B: 필리핀 vs 일본 (11:30)

   조 A: 인도네시아 vs 뉴질랜드 (14:30)

 

 - 7월 15일 (화):

   조 A: 한국 vs 중국 (20:30)

   조 B: 일본 vs 필리핀 (05:30)

   조 A: 인도네시아 vs 한국 (17:30)

 

플레이오프 및 결승

 - 7월 18일 (금): 플레이오프 (2위 vs 3위), 7위 결정전

 - 7월 19일 (토): 준결승, 5위 결정전

 - 7월 20일 (일): 결승전, 3위 결정전

 

한국 대표팀은 조 A에서 중국, 뉴질랜드, 인도네시아와 경쟁하며, 최소 조 2위 또는 3위를 확보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것이 목표다.

 

 

반응형

 

관전 포인트

 1. 한국 대표팀의 도전

한국 여자 농구 대표팀은 2023년 대회에서 4강 진출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025년 대회에서는 조별 예선에서 강력한 중국과 맞붙는 만큼, 뉴질랜드와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7월 14일 뉴질랜드전과 7월 15일 인도네시아전은 한국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결정짓는 핵심 경기다.

 

 2. 중국의 홈코트 우위

세계 랭킹 4위의 중국은 홈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다. 하지만 주요 선수인 리 멍과 리 위에 루의 부재로 인해 전력이 약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국이 홈 관중의 응원을 등에 업고 어떤 전략으로 경기에 임할지 주목된다.

 

 3. 일본의 부활

2013년부터 2021년까지 5연패를 달성했던 일본은 2023년 중국에 패하며 우승을 놓쳤다. 이번 대회에서는 베테랑 토카시키 라무의 복귀로 전력을 보강했으며, 빠른 볼 무브먼트와 장거리 슈팅을 앞세워 다시 정상을 노린다. 일본과 호주의 조 B 맞대결은 대회 초반 최대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4. 신흥 강팀의 반란

레바논, 필리핀, 뉴질랜드와 같은 신흥 강팀들은 이번 대회에서 돌풍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레바논은 젊은 선수 중심으로 팀을 재편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으며, 필리핀은 일본과의 경기에서 22점 차 리드를 뒤집는 저력을 보여줬다.

 

 5. 인도네시아의 디비전 A 데뷔

2023년 디비전 B 우승으로 디비전 A에 승격한 인도네시아는 이번 대회에서 첫선을 보인다. 강팀들과의 경기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를 모은다.

 

<출처> FIBA 홈페이지_한국 대표팀 이해란

 

 

시청 방법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 및 다시보기로 시청할 수 있다. 한국 팬들은 쿠팡플레이를 통해 한국 대표팀 경기를 포함한 주요 경기를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전 세계 팬들을 위한 공식 스트리밍 서비스도 제공된다.

 

주요 시청 방법

 - 쿠팡플레이: 한국 대표팀 경기 및 주요 경기 생중계 (한국 내)

 - Courtside 1891: FIBA 공식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 경기 생중계 및 다시 보기 제공 (국제)

 - FIBA 공식 유튜브 채널: 일부 경기 하이라이트 및 디비전 B 경기 생중계 (무료)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 시청 바로가기

 

 

대회의 의미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단순한 지역 대회를 넘어 2026 FIBA 여자농구 월드컵으로 가는 중요한 관문이다. 우승팀은 월드컵 직행 티켓을, 2~6위 팀은 예선 토너먼트 진출권을 획득하며, 디비전 A 최하위 팀은 디비전 B로 강등된다. 또한, 디비전 B 상위 팀은 디비전 A 승격 기회를 얻는다.

 

한국 대표팀에게는 이번 대회가 2026년 월드컵 진출을 위한 첫걸음이자, 아시아 무대에서 경쟁력을 입증할 기회다. 특히 중국, 일본, 호주와 같은 강팀들과의 경기에서 보여줄 경기력이 향후 국제 대회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마치며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은 아시아 여자 농구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무대다. 한국 대표팀의 활약, 중국과 일본의 강력한 경쟁, 신흥 팀들의 반란 가능성까지, 이번 대회는 다채로운 관전 포인트로 가득하다. 쿠팡플레이와 Courtside 1891을 통해 생생한 경기 현장을 감상하며, 한국 여자 농구의 도전을 응원해 보자.

 

 

참고자료

 - FIBA 공식 웹사이트: www.fiba.basketball

 - FIBA 공식 유튜브 채널: youtube.com/@FIBA

 - 올림픽 공식 웹사이트: www.olympics.com

 - Courtside 1891: www.courtside1891.basketball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GSW)의 올여름, 센터 보강 드라마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GSW)의 올여름, 센터 보강 드라마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이하 GSW)의 올여름, 센터 보강 드라마는 마치 ‘야구에서 9회 말 2 아웃’ 같은 긴장감!이른바 “호포드 놓치면 플랜B 즉시 가동!” 작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1. 플랜A:

i.minimalbreez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