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바둑의 간판스타 최정 9단(28)과 오정아 5단(32)이 국내 여자 개인전 최고 상금인 5,000만 원이 걸린 2025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 결승에서 맞붙는다. 두 기사는 4년 전인 2021년 초대 대회 결승에서 만난 이후 다시 한번 우승컵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펼친다. 이번 결승 3번 기는 바둑 팬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모으며, 한국 여자바둑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중요한 무대가 될 전망이다. 이 글에서는 2025 IBK기업은행배 결승의 중계 정보, 대국 일정, 시간, 그리고 두 기사의 활약과 배경을 자세히 다룬다.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란?
IBK기업은ruise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는 2021년 출범한 이래 한국 여자바둑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대회로 자리 잡았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한 이 대회는 여자바둑의 발전을 도모하며, 국내 여자기사들의 기량을 겨루는 중요한 무대로 평가받는다. 특히 2025년 대회는 우승 상금이 기존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준우승 상금은 1,2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대폭 증액되며 여자 개인전 최고 상금 대회로 주목받고 있다. 제한 시간은 시간누적(피셔) 방식으로 각자 40분에 추가 시간 20초가 주어진다.
이번 대회의 결승은 한국 여자바둑 랭킹 1위 최정 9단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코치로 활동했던 오정아 5단의 대결로, 두 기사의 치열한 승부가 기대된다. 특히, 4년 만에 다시 만난 두 기사의 리턴 매치는 팬들에게 큰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결승 대국 일정 및 시간
2025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 결승은 3번 기로 진행되며,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치러진다:
- 1국: 2025년 7월 30일 (수) 저녁 7시
- 2국: 2025년 8월 6일 (수) 저녁 7시
- 3국: 2025년 8월 13일 (수) 저녁 7시
모든 대국은 서울 성동구 마장로에 위치한 한국기원 바둑TV바둑 TV 스튜디오에서 열리며, 바둑 TV를 통해 생중계된다. 중계는 김여원 캐스터와 송규상 7단의 해설로 진행되며, 팬들은 바둑 TV 공식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바둑 TV는 8강전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에 중계를 이어왔으며, 결승전 역시 동일한 시간대에 방송된다.
중계 정보: 바둑TV에서 만나는 결승전
2025 IBK기업은행배 결승은 바둑 TV를 통해 생중계되며, 팬들은 TV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바둑 TV는 한국기원이 운영하는 전문 바둑 방송 채널로, 국내외 바둑 팬들에게 고품질의 경기 중계와 해설을 제공한다. 이번 결승전은 김여원 캐스터의 진행과 송규상 7단의 전문 해설로 더욱 풍성한 관람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 중계 채널: 바둑TV (TV 및 온라인 스트리밍)
- 캐스터: 김여원
- 해설: 송규상 7단
-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7월 30일, 8월 6일, 8월 13일)
온라인 시청을 원하는 팬들은 한국기원 공식 웹사이트(www.baduk.or.kr) 또는 바둑 TV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경기 종료 후에는 주요 장면을 담은 하이라이트 영상과 해설이 제공되어 놓친 경기를 다시 볼 기회도 있다.
최정 9단: 여자바둑의 절대강자
최정 9단은 한국 여자바둑 랭킹 1위로, 명실상부한 세계 최강의 여자기사로 평가받는다. 2021년 초대 IBK기업은행배와 2023년 3기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 대회에서 두 차례 정상에 오른 바 있다. 이번 대회에서도 최정은 이나경 2단, 허서현 5단, 김채영 9단 등 강자들을 차례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 여전히 건재한 기량을 과시했다.
최정은 이번 결승에 대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코치와 선수로 함께했던 오정아 5단과 결승에서 만나게 되어 기쁘다”며 “최선을 다해 싸우겠다”라고 각오를 밝혔다. 그녀는 2021년 결승에서 오정아를 2-0으로 완파하며 우승을 차지한 전적이 있어, 이번에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다. 최정은 현재 여류기성과 여류국수 타이틀을 보유 중이며, 이번 대회 우승 시 여자바둑 3관왕의 위업을 달성하게 된다.
최정의 강점은 치밀한 계산과 안정적인 경기 운영에 있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경기력은 그녀가 왜 한국 여자바둑의 간판스타인지 증명한다. 16강부터 4강까지 그녀의 대국은 팽팽한 흐름 속에서도 결정적인 순간에 대마를 포획하거나 역전을 이끌어내는 능력이 돋보였다.
오정아 5단: 설욕을 노리는 다크호스
오정아 5단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국가대표 코치로 활동하며 바둑계에 새로운 면모를 보여줬다. 이후 선수로 복귀한 그녀는 이번 대회에서 놀라운 기량을 뽐내며 결승에 올랐다. 오정아는 예선부터 출전해 김민정 초단, 김경은 2단을 시작으로, 16강에서 윤영민 3단, 8강에서 오유진 9단, 4강에서 나카무라 스미레 4단과 김신영 3단을 잇달아 제압하며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특히, 8강에서 나카무라 스미레를 상대로 보여준 완벽한 수순과 맥점 공략은 송규상 해설위원이 연속으로 감탄할 정도로 뛰어났다. 오정아는 초반부터 두터운 바둑을 쌓아 주도권을 잡고, 마지막까지 안정적인 강약 조절로 경기를 마무리하며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그녀는 “4년 만에 IBK기업은행배 결승에 올라 기쁘다”며 “2021년 결승에서는 나만의 바둑을 보여주지 못해 아쉬웠지만, 이번에는 잘 준비해 우승에 도전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오정아는 최정과의 통산 상대 전적에서 5승 18패로 열세지만, 이번 대회의 상승세를 고려하면 충분히 설욕의 기회를 노릴 만하다. 특히, 4강에서 김신영을 상대로 하변의 흑 대마를 잡아내며 완승을 거둔 경기는 그녀의 경기력이 절정에 달했음을 보여준다.
2021년 결승 리뷰: 최정의 완승
2021년 초대 IBK기업은행배 결승에서 최정 9단은 오정아 5단을 상대로 2-0 완승을 거두며 초대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당시 최정은 16강에서 허서현 2단, 8강에서 김다영 4단, 4강에서 조승아 3단을 꺾고 결승에 올랐으며, 오정아는 예선부터 윤영민 3단, 오유진 7단, 김은선 5단을 제압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 3번기에서 최정의 안정적인 경기 운영과 날카로운 공격이 오정아를 압도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오정아는 당시 결승에서 “후회 없는 경기를 두겠다”라고 다짐했지만, 최정의 벽을 넘지 못했다. 이번 2025년 결승은 오정아에게 4년 만의 설욕 기회이자 첫 타이틀 획득의 기회다.
대회 하이라이트: 치열했던 본선 여정
이번 2025 IBK기업은행배는 초반부터 이변이 속출하며 팬들의 관심을 끌었다. 16강전에서는 스미레 4단이 2022년 대회 준우승자 박태희를 완승으로 꺾고 8강에 진출했으며, 김은지는 아마추어 선수 송유진을 제압하며 8강에 합류했다. 최정 역시 이나경 2단을 상대로 팽팽한 흐름에서 대마를 포획하며 8강에 올랐다.
8강전에서는 김채영 9단과 김다영 4단의 자매 대결이 화제를 모았고, 김채영이 완승을 거두며 4강에 진출했다. 오정아는 나카무라 스미레를 상대로 완벽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4강에 합류, 김신영 3단은 허서현을 꺾고 4강에 올랐다. 4강에서는 오정아가 김신영을 완파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최정은 허서현을 역전승으로 제압하며 결승 티켓을 거머쥐었다.
특히, 이번 대회 4강 진출자 중 최정을 제외한 김채영, 오정아, 김신영이 모두 유부녀 프로기사라는 점이 흥미로운 화제를 낳았다. 이들은 각각 바둑기사 부부(김채영-박하민, 오정아-이영구, 김신영-허영호)로, 바둑계의 새로운 스토리를 만들어냈다.
결승전 관전 포인트
이번 결승전의 주요 관전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최정의 안정감 vs 오정아의 상승세: 최정은 안정적인 경기 운영과 치밀한 수 읽기로 유명하지만, 오정아는 이번 대회에서 보여준 공격적인 바둑과 두터운 수법으로 충분히 대적할 만하다.
2. 과거 전적의 부담: 오정아는 최정과의 통산 전적에서 열세지만, 이번 대회의 기세를 이어간다면 새로운 역사를 쓸 가능성이 있다.
3. 상금과 명예: 5,000만 원이라는 국내 여자 개인전 최고 상금과 함께, 우승자는 여자바둑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된다. 특히 최정은 3관왕, 오정아는 첫 타이틀 획득이라는 목표가 걸려있다.
마치며: 한국 여자바둑의 미래를 여는 대결
2025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 결승은 최정 9단과 오정아 5단의 치열한 승부로 한국 바둑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 것이다. 최정은 여자바둑의 절대강자로서 3번째 우승을 노리고, 오정아는 4년 만의 설욕과 첫 타이틀을 목표로 삼는다. 바둑 팬들은 7월 30일부터 시작되는 결승 3번기를 통해 두 기사의 명승부를 지켜볼 수 있다. 바둑 TV를 통해 생중계되는 이번 경기는 한국 여자바둑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중요한 무대가 될 것이다.
참고자료
- 한국기원 공식 웹사이트: www.baduk.or.kr
- 2025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 관련 기사: 나무위키
- 최정 vs 오정아 결승 관련 뉴스: 이코노미퀸
신진서 9단 대회 최다 우승, 2025 GS칼텍스배 프로기전 결승: 다시 보기
신진서 9단 대회 최다 우승, 2025 GS칼텍스배 프로기전 결승: 다시보기
신진서 9단, GS칼텍스배 6번째 우승으로 역사 새로 쓰다2025년 7월 22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바둑 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30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결승 5번기 3국에서 신진서 9단이 안성준 9단을
i.minimalbreeze.com
'바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진서 9단 대회 최다 우승, 2025 GS칼텍스배 프로기전 결승: 다시보기 (2) | 2025.07.23 |
---|---|
2025 GS칼텍스배 프로기전 결승전: 중계 경기 일정 시간 (0) | 2025.07.21 |
2025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시니어최강전: 중계 경기 일정 시간 (0) | 2025.07.18 |
2025 신안천일염 전국 대학생 바둑대회: 중계 경기 일정 시간 (0) | 2025.07.17 |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중계 경기 일정 시간(한·중·일 삼국지) (1) | 2025.07.14 |